에피네프린(epinephrine)2 에피네프린(Epinephrine) 용량별 차이와 임상 적용 1. 심정지(Cardiac Arrest)심정지는 가장 강력한 에피네프린 투여가 요구되는 응급 상황이야. 이때는 정맥주사(IV)나 골수내주사(IO)로 투여하며, 빠른 순환이 관건이기 때문에 용량이 표준화되어 있다.용량:➤ 성인: 1mg을 3~5분마다 반복 정맥주사(IV push)➤ 소아: 0.01mg/kg (최대 1mg) IV 또는 IO로 투여농도: 1:10,000 (0.1mg/mL)로 희석된 형태를 사용임상적 의미:에피네프린은 심정지 환자의 관상동맥 관류압(Coronary Perfusion Pressure, CPP)을 증가시켜 심장 박동 재개(ROSC)를 촉진하지만, 과량 투여나 지연 투여는 뇌 저산소증 후유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주의점:➤ 정맥 확보가 지연되면 기관 내 투여(endotracheal tu.. 2025. 3. 14. 에피네프린(Epinephrine) : 정의, 기본특성, 작용기전, 적응증, 약물 동태학, 부작용 및 주의사항 1. 에피네프린의 정의와 기본 특성에피네프린은 부신수질(adrenal medulla)에서 생성되는 카테콜아민 계열의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인체에서는 주로 스트레스 반응(일명 '투쟁-도피 반응')을 유도하며,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강력한 생리학적 효과를 발휘한다. 외부에서 투여되는 합성 에피네프린은 응급 상황에서 강력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여 생명을 구하는 약제로 활용된다.2. 작용 기전(Mechanism of Action)에피네프린은 알파(α) 및 베타(β)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비선택적으로 작용한다. 각각의 수용체를 자극하는 기전은 다음과 같다.알파 수용체(α1, α2)α1 수용체: 주로 혈관 평활근에 존재하며, 혈관 수축(혈관저항 증가)을 통해 혈압을 상승시킨다.α2 수용체: 시냅스 전 뉴런에.. 2025.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