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vel up/질병

당뇨(Diabetes Mellitus) : 합병증과 예방 방법, 치료법 약물, 식단 관리 및 생활 습관

by choonsun 2025. 3. 4.

당뇨(Diabetes Mellitus) : 합병증과 예방 방법, 치료법 약물, 식단 관리 및 생활 습관
당뇨(Diabetes Mellitus) : 합병증과 예방 방법, 치료법 약물, 식단 관리 및 생활 습관

1. 당뇨병의 합병증

1) 급성 합병증

  •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인슐린 부족으로 지방이 분해되면서 혈중 케톤 수치가 증가하여 심각한 산증을 유발함.
  •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HHNS): 극심한 고혈당으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며, 주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남.
  • 저혈당: 과도한 인슐린 투여 또는 식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의식 저하 및 혼수 상태로 이어질 수 있음.

2) 만성 합병증

  • 미세혈관 합병증: 망막병증(실명 위험), 신장병증(투석 필요), 신경병증(말초 신경 손상) 포함.
  • 대혈관 합병증: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동맥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 기타 합병증: 피부 감염 증가, 면역 기능 저하, 당뇨병성 족부병증 등.

2. 당뇨병 예방 방법

  • 규칙적인 운동: 주당 최소 150분 이상의 중강도 유산소 운동(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과 근력 운동 병행.
  • 건강한 식습관: 정제 탄수화물 줄이고 복합 탄수화물, 단백질, 건강한 지방을 균형 있게 섭취.
  • 체중 관리: BMI를 정상 범위(18.5~24.9kg/m²)로 유지하여 내장 지방 감소.
  • 스트레스 관리 및 금연: 명상, 요가, 심호흡 등을 활용하며 금연 필수.

3. 최신 치료법 및 약물 기전

  • SGLT-2 억제제: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으로 배출. 대표 약물: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 GLP-1 수용체 작용제: 인크레틴 호르몬(GLP-1) 활성화로 인슐린 분비 증가, 체중 감소 효과. 대표 약물: 리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 DPP-4 억제제: GLP-1의 분해를 억제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 대표 약물: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 인슐린 치료: 1형 및 말기 2형 당뇨병에서 필수. 최신 인슐린 제제는 초속효성, 지속형, 혼합형으로 개발됨.

4. 당뇨병 환자의 식단 관리 및 생활 습관

1) 식단 관리 원칙

  • 총 탄수화물 섭취량 조절 및 혈당지수(GI) 낮은 식품 선택.
  • 단백질과 지방 섭취를 조절하여 혈당 변화 최소화.
  • 나트륨 섭취를 줄여 고혈압 예방 및 신장 보호.

2) 생활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식사 시간 유지하여 혈당 변동 최소화.
  • 하루 7~8시간 숙면을 유지하여 인슐린 저항성 감소.
  • 알코올 섭취 줄이고, 특히 과음 피하기.

5. 결론

당뇨병 관리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합병증 예방, 체중 조절, 생활 습관 개선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최신 치료법과 약물 기전을 이해하면 개인별 맞춤 치료가 가능하며, 올바른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면 당뇨병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생활 습관을 꾸준히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